우울증 성.연령.거주지.소득수준별 경험률 |
나이 많을수록, 소득 적을수록 경험률↑…10%만 정신건강 상담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나라 성인 8명 중 1명은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느낄 정도의 우울증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료기관 등을 찾아 이 같은 정신적 고통을 적극적으로 상담·치료받는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14일 질병관리본부가 '세계 자살 예방의 날(10일)'을 맞아 발표한 '한국 성인의 우울증상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전국 3천840가구 대상) 결과, 19세이상 성인의 12.9%가 "최근 1년안에 우울증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 조사에서 우울증은 연속 2주이상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슬픔·절망을 느낀 경우로 정의됐다.
여성(16.5%)의 우울증 경험률이 남성(9.1%)의 1.8배에 이르렀고, 연령별로는 70세 이상(17.9%)에서 우울증이 가장 흔했다. 이어 60대(15.1%)·50대(15.0%)·40대(12.9%) 순으로, 대체로 나이가 들수록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
또 가구의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 경험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소득층(소득 하위 25%)에서는 이 비율이 15.3%였지만, 고소득층(상위 25%)은 이보다 4.4%p나 낮은 10.9%에 그쳤다. 소득 중하·중상위층의 우울증 경험률은 각각 13.1%, 11.3%로 집계됐다.
거주 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나눠보니, 도시(12.3%)보다 농촌 거주자(16.5%)의 우울증 빈도가 더 높았다.
하지만 이처럼 우울증이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에도, 관련 상담과 치료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우울증상을 경험한 사람 가운데 최근 1년간 정신건강 상담을 받은 사람은 9.7%에 불과했다. 여성(11.3%)보다 남성(6.8%)이, 상대적으로 젊은 19~64세(10.8%)보다 65세이상 노인층(5.0%)이 특히 상담과 치료를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윤아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연구원은 "우울증 상담·치료율이 낮은 것은 전문가 도움을 받아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부족한데다 정신건강 상담·치료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우울증은 개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일 뿐 아니라 우울증과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도 10조3천800억원(2011년 기준)에 이른다"며 "우울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 인식 개선 노력과 함께 사회적 지원 체계를 갖춰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01&aid=0007116421
출처 : 소울드레서 (SoulDresser)
글쓴이 : 크리스마스컴온 원글보기
메모 :
'ㄴ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아] `가수 보아`와 부친, 그린벨트에 대규모 주택 불법 조성 (0) | 2014.09.15 |
---|---|
[스크랩] 퇴임 1년 반만에···`이명박 기념재단` 설립 (0) | 2014.09.14 |
[스크랩] CNN, `일베 회원, 세월호 유족 단식투쟁 조롱` (0) | 2014.09.12 |
[스크랩] 장모 명의 폰으로 女고생에 자위행위 상습 전송 (0) | 2014.09.12 |
[스크랩] [이병헌] 이병헌 vs 협박모델, 2라운드 3대 쟁점..우발? 계획? (0) | 201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