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입력2014.09.05 09:42 수정2014.09.05 10:52
보잉737 여객기보다 무거운,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 화석이 발견돼 고생물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월드리포트(Science World Report)는 드렉셀 대학교 고생물·지질학 연구진이 지구에서 가장 큰
몸집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 드레드노투스 슈라니(Dreadnoughtus schrani)의 화석을 발견했다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지난 2005년 2월, 아르헨티나 남부 파타고니아 고원지대에서 1.8m에 이르는 넙다리 뼈 화석을 발견하며 드레드노투스의
존재를 감지했다. 이후 정강뼈, 종아리뼈를 비롯한 10개의 주요 화석이 추가 발견됐고 최근에는 5㎝ 크기의 이빨을 비롯한
145개의 뼈 화석이 모여져 드레드노투스의 실물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됐다.
연구진에 의해 추정된 드레드노투스의
크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목 길이 11m, 꼬리길이 9m에 총 몸길이는 26m 정도며 몸무게는 무려 65톤에 달한다. 이는
49톤인 보잉737 여객기보다 무겁고 대형 아프리카 코끼리 12마리를 합친 것 만큼에 육박하는 무게로 역대 지구상에 존재했던 공룡
중 가장 무겁고 거대했던 종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드레드노투스의 생존연대는 약 7,700만년 전 백악기 후기로 현재 화석이 발견된 남아메리카 초원지대에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드레드노투스는 긴 목의 초식공룡으로 주식은 식물이었다.
드레드노투스 슈라니(Dreadnoughtus schrani)라는 학명에서 드레드노투스(Dreadnoughtus)는 20세기 초
활약한 동명의 영국 전함에서 따왔는데 해당 연구를 주도중인 드렉셀 대학교 고생물학과 켄 라코바라 교수는 "이 이름은 과거
영국전함처럼 그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무시무시함'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실제로 드레드노투스는 거대한 몸집 때문에 큰
두려움이 없이 살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고로 드레드노투스는 백악기 때 함께 생존했던 악명 높은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의
7배에 달하는 몸집을 지니고 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과학저널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4일 발표됐다.
사진=Ken Lacovara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ㄴ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섹스보다 더 좋은 것 15가지 (0) | 2014.09.05 |
---|---|
[스크랩] 여자들이 침대에서 정말 원하는 10가지 (0) | 2014.09.05 |
[스크랩] 국회의원 한달 봉급은 얼마일까? (0) | 2014.09.05 |
[스크랩] [36.5도] 약자가 약자를 혐오할 때 (0) | 2014.09.05 |
[스크랩] 한국 최초 영유아 의류업체 `아가방` 중국 회사에 매각 (0) | 201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