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브이데일리] 청와대 열감지기 설치 사실이 알려지며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지난 4일 한국-세네갈 정상회담이 열린 청와대 본관 출입구에 열감지 카메라가 설치된 사진이 포착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한 조치이지만 그동안 정부는 국민의 메르스 확산 우려와 불안감에 대해 "필요 이상으로 동요할 필요 없다"라며 국민의 불안이 과도하다고 한 바 있다.
또한 앞서 한 매체는 청와대 한 관계자가 열감지기 설치 가능성에 대해 예산상의 문제로 곤혹을 표하며 "마음같아선 열감지기를 전역에 설치하고 싶지만 돈이 문제다. 열감지기가 대당 1000만 원 정도 든다고 하더라"라고 말한 바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역시 "메르스에 과잉대응하는 건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앞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긴급 브리핑을 열고 직접 방역에 나서겠다고 할 때도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한다며 유감을 표하기도 했지만 박원순 서울시장이 언급한 메르스 의사 환자의 감염사실을 은폐했음을 시인하는 등 국민들의 불신감이 팽배하고 있다.
이는 앞서 지난 12년 전 故노무현 대통령 임기 당시 발생한 사스 방역과정과 비교되며 더욱 논란이 되고 있는 것. 당시 사스 감염자수는 전세계 수천명에 치사율도 높았고 이에 노무현 정부는 방역대책본부로는 역부족이라고 판단해 상위 부처인 국무조정실이 나서 국방부, 행정자치부 등 관련 부처를 총동원했다. 군 의료진 70여 명을 공항 사스 방역에 투입하고 국무조정실 차원의 상황실을 만들었으며 공항에 입국자 체온을 측정하는 열감지기가 1대 뿐이라 복지부에 예비비를 지원, 이동식 열 감지기 10대를 설치했다.
또한 노무현 대통령은 국립보건원을 찾아 사스 방역 평가 보고를 받고 질병관리본부를 정식 출범했고, 당시 정부의 신속한 대처로 인해 확진 환자는 1명도 나오지 않았고 그해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이 사스 예방 모범국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재는 반한감정이 치솟을만큼 메르스 의심 환자가 중국행에 올라 중국에서 한국인 10여 명이 격리조치 당하는 등 외신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 또한 불안이 과도하다더니 열감지기 설치한 청와대라는 제목의 기사를 링크하며 정부의 무대응을 비판했다.
http://m.media.daum.net/m/media/hotnews/rankingnews/bestReply/newsview/20150606094408052
'ㄴ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누리 관악을 오신환 적극 지지해온 송강호.jpg (0) | 2015.06.07 |
---|---|
[스크랩] 여군 “적은 아군 남자였다” (0) | 2015.06.07 |
[스크랩] 월간 김치남 6월호 (0) | 2015.06.04 |
남초에서 여자들 비꼴때 쓰는 "아몰랑" 이란 단어를 아시나요? (0) | 2015.06.04 |
[스크랩] [메르스갤] 현재 메르스갤러리 상황 (0) | 2015.06.03 |